천안 썸네일형 리스트형 음식을 잘못 먹고 체한 것인지 감기에 걸린 것인지 모를 두통 복통 <곽향정기산>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간혹 감기처럼 오한이 들고 열도 나고 머리도 아픈데 속도 같이 불편하고 설사가 나기도 합니다. 음식을 잘못 먹은것 같기도 하고 감기에 걸린것 같기도 한데 소화제를 먹어도 별로이고 감기약을 먹어도 별로일때 곽향정기산을 처방합니다. 그래서 여름에 더위먹어서 식욕부진하고 권태감이 들어 움직이기 싫고 머리가 몽롱할 때도 곽향정기산을 처방하게 됩니다. 곽향정기산을 처방해야하는 환자보다 더 허한 환자에게는 청서익기탕을 처방하기도 합니다. 감기로 상한 것인지 음식에 상한 것인지 구분이 잘 안될때 쓰는 처방이 불환금정기산이 있습니다. 소아가 식체로 가래가 나오고 새벽 3~4시 경에 기침을 심하게 할때 음식에 상한 기침으로 보고 불환금정기산을 처방합니다. 더보기 속이 답답하고 머리가 아프고 등이 뻐근한 식체 두통 <평위산>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음식을 과하게 먹거나 신경쓰면서 먹었을 때, 혹은 추운 곳에서 급하게 먹었을때 체하기 쉽습니다. 체했다는 것은 위에 급성 염증이 생겼음을 의미합니다. 위에 급성 염증이 생겨서 음식이 내려가지 않고 혈액이 몰리게 되면 속이 답답해지고 머리가 아프거나 등이 뻐근한 증상이 생기게 됩니다. 평위산은 이런 식체 증상에 처음으로 처방하게 되는 약입니다. 가끔 생기는 식체의 증상은 대수롭지 않으나 만성적으로 반복되는 식체의 증상이 있을 때는 소화기의 기질적인 문제가 있지 않은지 검사를 필요로 합니다. 더보기 머리가 무겁고 뭔가 쓴것 같으며 어지러운 현훈 <당귀작약산>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당귀작약산은 복령 백출 택사가 배합된 처방으로 현훈의 증상이 수독에 의해 생길때 처방합니다. 수독으로 인한 현훈에서는 모(冒)의 증상을 동반하게 됩니다. 무겁고 뭔가를 머리에 쓴것 같은 느낌입니다. 이런 당귀작약산을 처방하게 되는 어지러움은 불안감을 동반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주로 임신중이나 산후에 생기는 어지러움에 처방할 경우가 많은데 임신중 혹은 산후 혹은 일반적인 빈혈로 인한 어지러움을 치료할때는 당귀작약산보다는 십전대보탕을 처방하게 됩니다. 더보기 일어나면 어지러운 현훈 <영계출감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영계출감탕은 일어서면 어찔하다고 말하는 증상에 사용합니다. 가만히 누워있을 때는 괜찮은데 일어나면 어지러운 증상이 발생할 때 처방하면 좋을 효과를 볼 수 있는 처방입니다. 대총경절의 27세의 건강해보이는 여자 환자가 때때로 발작적으로 머리가 무겁고 어지럽다고 호소하는데 어지러우면 몸이 흔들리는것 같아서 걸을 수가 없다고 하는 증상에 복부의 진수음을 확인하고 영계출감탕을 처방하였더니 6일 복용으로 현훈이 없어지고 몸이 흔들리지 않아서 걸어 다닐수 있었다고 합니다. 대총경절은 또한 모친이 만성 신염과 현훈과 두통과 견비통으로 고생하시는데에 아침에 급히 일어나면 어지러워서 한동안 앉아 있어야 하는데 당귀작약산을 처방하여 효과를 보기도 했다고 합니다. 대총경절의 고찰을 살펴보면 상한론과 금궤요략에 현훈에 사용할.. 더보기 어지러움 현훈 치료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일반적으로 어지러운 것을 현훈이라고 합니다. 어지럽다는 표현은 실제로는 여러 원인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전정기관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회전성 현훈입니다. 이때는 몸을 조금만 움직여도 세상이 빙빙 도는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환자는 중심을 잡을수 없고 매스꺼움을 느껴서 토하거나 두통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 외에 앉았다가 일어날때 눈앞이 깜깜해지면서 엇질하고 중심을 잡을 수 없는 증상도 현훈이라고 말합니다. 이런 증상은 신경의 문제로 발생할 수도 있고 혈액순환의 문제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현훈증상은 각 증상에 맞는 진단과 그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진행해야 제대로 치료될 수 있습니다. 더보기 아기가 이유 없이 밤에 우는 야제증 <작약감초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아기들이 밤에 갑자기 이유도 없이 울때가 있습니다. 배가고파서 그런가 싶어서 분유를 먹여도 먹지 않고 울기만 할 때가 있습니다. 혹시 기저귀가 젖어 있는가 확인도 해보고 혹시 뭔가에 찔려서 우는 것은 아닐까 싶어서 옷을 뒤저보기도 하지만 딱히 아기가 울만한 이유를 찾을 수 없을 때가 있습니다. 이럴때면 아이를 안고 밤새 달래주게 되죠. 이렇게 아기가 밤에 이유없이 우는 증상을 야제증이라고 합니다. 작약감초탕은 이런 야제증의 아이에게 첫번째로 처방하게 되는 약입니다. 이 약을 처방하면 아이들의 야제가 멈추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작약감초탕으로 효과가 없을 때 감맥대조탕을 처방하거나 억간산을 처방하게 됩니다. 더보기 속이 차고 손발도 차가운 사람의 불면 <이중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이중탕은 장이 차고 허약해서 소화를 제대로 시키지 못하고 설사를 자주 하며 손발이 차가운 환자에게 처방하는 약입니다. 이런 환자에게서 불면증이 나타나면 역시 이중탕을 처방합니다. 대총경절은 29세 허약한 체질의 남자가 동생 두명은 폐결핵으로 사망하고 남은 형제 두명도 허약한데 1개월전부터 불면증이 생겨서 수면제를 복용하면 속이 나빠져서 복용할수가 없고 발은 항상 차고 머리는 띵하며 명치부위가 아프고 견비통이 있으며 식욕도 없고 대변도 시원하지 않고 소변을 자주본다고 하고 맥도 약하여 위하수증으로 진단하고 인삼탕을 처방하였더니 5일 복용하고 증상이 좋아졌다가 복약을 중지하면 다시 불면이 와서 다시 복용시키니 손발도 따뜻해지고 잠도 잘 자게되어 약을 반년을 복약하여 체중도 4kg이 늘고 혈색도 좋아졌다는 치.. 더보기 배가 불러오르고 불편하며 변비가 있으면서 편하게 잠들지 못하는 불면 <계지가작약대황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배가 불러오르면서 변비가 있고 편안하게 잠들지 못하는 증상에 계지가작약대황탕을 처방합니다. 변비가 없을 때는 계지가작약탕을 처방합니다. 계지가작약탕은 추위를 타기 쉽고 배가 벙벙하고 복부의 근육이 경직되어 있지만 배에 힘이 없고 간혹 복통이나 배의 불편한 증상이 있을때 처방합니다. 치험례를 살펴보면 20세 남자가 배의 근육이 긴장해서 굳어있고 변비가 있으면서 식욕은 정상인데 잠들지를 못해서 추야태주는 불면의 원인이 배에 있다고 생각해서 계지거작약가대황탕을 처방하니 하루 복용으로 효과가 있고 9일 복용하여 완쾌되었다고 합니다. 대총경절도 직장암으로 의심받을 만한 증상으로 대변이 통하지 않고 점액성혈변을 보고 밤이 깊어지면 아랫배가 팽만해져서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에게 계지거작약가대황탕을 처방하여 치료하였.. 더보기 잠귀가 밝고 꿈이 많고 꿈자리가 뒤숭숭해서 잠잔것 같지 않은 불면 <시호강계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체력이 약해서 추위를 타기도 하고 소화도 좋지 않으면서 혈색도 나쁘고 급하게 걸으면 숨이 끊어질듯 잘 쉬지 못하고 입이 마르고 배꼽 주위가 벌떡 거리고 두근 거리는 사람의 불면증에는 시호계지건강탕을 처방합니다. 이런 환자분은 선잠을 자면서 소리를 다 듣고 꿈을 많이 꾸고 꿈자리가 뒤숭숭해서 자고 일어나서도 한잠도 안잔것 같다고 표현합니다. 시호강계탕을 처방하게되는 환자는 시호가용골모려탕이나 대시호탕처럼 배의 힘이 탄탄하지 못하고 배가 무르며 흉협고만의 증상도 약하고 변비도 없고 오히려 무른변을 보거나 설사하는 경향이 있고 발도 차가운 편입니다. 더보기 잘 놀라고 두근거리고 흥분되서 잠들지 못하는 불면 <시호가용골모려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대시호탕을 처방할 환자분이 잘 놀라고 두근거리는 동계가 있고 잘 흥분해서 잠들지 못할 때에는 시호가용골모려탕을 처방합니다. 배가 빵빵하고 명치 부분이 답답하고 꽉 막힌듯 하면서 흉협고만하고 변비가 있는 사람에게 대시호탕을 처방하는데 이런 증상에 불안 두근거림 흥분이 동반될때 시호가용골모려탕을 처방하게되는 것입니다. 대시호탕을 처방하게 되는 환자분은 체격이 건장하고 배가 탄탄한 편인데 시호가용골모려탕을 처방하게 되는 환자분의 경우에도 비슷합니다. 더보기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