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손발

한의학 생활 백서 1 <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더보기
처세<탈무드> 결혼은 기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장례식에 참석한 사람들은 마땅히 침묵을 지켜야 한다. 강의의 목적은 청취라는 것을 잊지 말고, 남을 방문할 때엔 일찍 도착해야 한다. 가르칠 때엔 오로지 집중하며, 금식의 목적은 그만한 돈으로 자선을 베푸는 것, 이것들이 맞는 도리이다. 인간에게서는 여섯 가지의 매우 요긴한 부분이 있다. 그 가운데 눈, 코, 귀, 세 부분은 자신이 지배할 수 없는 부분이고, 나머지 입과 손, 발은 자신의 힘으로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이다. 자신의 혀에게 '나로선 알 수 없습니다.' 하는 말을 열심히 가르쳐라. 장미꽃은 가시 틈에서 자라난다. 무보수로 처방전을 쓰는 의사의 충고는 귀담아 듣지 말라. 단지를 보지 말고 그 내용물을 보라. 나무는 그 열매로 평가되고 인간은 그가 한 일에 의해 .. 더보기
부정맥이 있고 숨이 차며 손발이 뜨겁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사람의 어지러움(현훈) <자감초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자감초탕은 피부가 건조하고 피로하기 쉬우며 손발에 열이 나고 임이 마르며 변비가 되기 쉽고, 숨을 헐떡이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부정맥을 보이는 환자에게 처방합니다. 이런 환자라도 위장이 약하고 식욕이 좋지 않으며 설사를 잘 하는 경향이 있는 환자에게는 처방할 수가 없는데 지황을 주약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자감초탕을 처방하게 되는 환자는 제하불인이라는 복증을 보이며 번열이 있고 복부 대동맥의 동계가 항진되어 있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런 증상들은 심내막염, 심계항진, 교감신경 흥분증 등과 같은 질환이 동반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이 동반되면서 현훈을 보일때는 자감초탕으로 처방하게 되는데 심동계가 동반되어 있는 환자의 현훈에 처방하게 됩니다. 더보기
혈압이 낮고 피로하기 쉬우며 기운이 없는 사람의 어지러움 <진무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진무탕을 처방해야할 환자는 피로하기 쉽고, 혈색도 좋지 못하며 맥은 지약하고 손발이 차며 설사하기 쉽습니다. 혹시라도 변비가 있더라도 가끔 설사를 하게 됩니다. 또한 대황과 같은 찬약을 처방하게 되었을때 복통이 생기고 대변도 시원하게 나가지 않게 됩니다. 배도 힘이 없고, 꿀렁거리는 진수음이 있을 경우가 많습니다. 혹 가끔은 복직근의 경직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환자가 혈압도 낮고 어지러움을 호소한다면 진무탕을 처방할 수 있습니다. 치험례를 살펴보면 36세 남자가 키가 크고 살집은 보통이며 혈색이 과히 나쁘지 않은데 어지러워 힘들어합니다. 바람부는쪽으로 걸으면 어지러움이 생기고 아주 피로해지고 일하는데 기운이 하나도 없고 맥은 약하고 배에서는 꿀렁거리는 물소리가 나고 배꼽 주변에서는 벌떡거리는 것.. 더보기
속이 차고 손발도 차가운 사람의 불면 <이중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이중탕은 장이 차고 허약해서 소화를 제대로 시키지 못하고 설사를 자주 하며 손발이 차가운 환자에게 처방하는 약입니다. 이런 환자에게서 불면증이 나타나면 역시 이중탕을 처방합니다. 대총경절은 29세 허약한 체질의 남자가 동생 두명은 폐결핵으로 사망하고 남은 형제 두명도 허약한데 1개월전부터 불면증이 생겨서 수면제를 복용하면 속이 나빠져서 복용할수가 없고 발은 항상 차고 머리는 띵하며 명치부위가 아프고 견비통이 있으며 식욕도 없고 대변도 시원하지 않고 소변을 자주본다고 하고 맥도 약하여 위하수증으로 진단하고 인삼탕을 처방하였더니 5일 복용하고 증상이 좋아졌다가 복약을 중지하면 다시 불면이 와서 다시 복용시키니 손발도 따뜻해지고 잠도 잘 자게되어 약을 반년을 복약하여 체중도 4kg이 늘고 혈색도 좋아졌다는 치.. 더보기
머리가 차가워지면 생기는 두통 편두통 <마황세신부자탕> 치료는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에서 머리가 차면서 생기는 두통이 있습니다. 머리에 모자를 쓰거나 머리를 따뜻하게 감싸주면 덜해지고 머리가 차가와지면 통증이 심해지는 환자분들에게 마황세신부자탕을 처방합니다. 노인분들에게 많은 편이며, 맥은 침세하고 발이 차가운 편입니다. 세신이나 부자는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작용이 강한 약들로서 몸이 차서 오는 두통에 효과적입니다. 등에서 시작해서 목뒤까지 오한이 있고 머리가 차면서 통증이 있을때에는 당귀사역탕을 처방하기도 하는데 여기에도 세신이 함께 처방되어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