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가운 썸네일형 리스트형 처세 2 <탈무드> 타인의 자비로 살아야 할 처지라면 차라리 가난하게 사는 편이 낫다. 한 닢의 동전이 들어있는 단지는 요란스런 소리를 내지만 동전이 가득 채워진 단지는 조용하다. 장미꽃은 가시 틈에서 자라난다. 남이 자기를 칭찬하게는 해도 자기 입으로 스스로를 칭찬하지는 말라. 높은 사람이 아랫사람의 이야기를 들어주며, 노인이 젊은 사람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세상은 마땅히 축복받을 곳이다. 두려움과 분노, 아이와 악처가 인간의 노화를 재촉하는 네가지 원인이다. 좋은 음악, 고요한 풍경, 은은한 향기는 인간 마음을 평온히 가라앉힌다. 좋은 가정, 좋은 아내, 좋은 옷, 이 세가지는 남자에게 자신감을 가지게 한다. 제 아무리 엄청난 부자라도 자선을 베풀지 않는 인간은 진수성찬이 차려진 식탁 위에 소금이 놓여 있지 않은 것과.. 더보기 삼출성 중이염으로 귀가 먹먹하고 머리에 무엇인가 쓴것처럼 무거운 난청 <영계오미감초탕> 천안동의보감한의원 삼출성중이염은 고막 안쪽에 삼출액이 고이는 질환으로 이로 인해 난청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는 발열이나 통증은 없는데 머리에 뭔가를 쓴 것처럼 무겁고 귀가 잘 들리지 않게 됩니다. 이런 질환이 있는 사람이 발도 차고 맥도 침미하고 얼굴이 잘 달아오르는 경우에 영계오미감초탕을 처방합니다. 얼굴이 잘 달아오른다고 하는 것은 얼굴이 술에 취한 것처럼 붉어지고 소변의 양도 적어지며 잘 달아오른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환자의 경우에 영계오미감초탕을 복용하면 난청이 잘 치료됩니다. 발이 차고 상기가 잘 되고 맥이 침하며 이명이 있을 때에는 소자강기탕을 처방합니다. 이 경우는 중이염으로 인한 증상에 처방하는 것이 아니라 천식과 유사한 기침이 있으면서 이명이 있을 때에 좋습니다. 더보기 혈압이 낮고 피로하기 쉬우며 기운이 없는 사람의 어지러움 <진무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진무탕을 처방해야할 환자는 피로하기 쉽고, 혈색도 좋지 못하며 맥은 지약하고 손발이 차며 설사하기 쉽습니다. 혹시라도 변비가 있더라도 가끔 설사를 하게 됩니다. 또한 대황과 같은 찬약을 처방하게 되었을때 복통이 생기고 대변도 시원하게 나가지 않게 됩니다. 배도 힘이 없고, 꿀렁거리는 진수음이 있을 경우가 많습니다. 혹 가끔은 복직근의 경직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환자가 혈압도 낮고 어지러움을 호소한다면 진무탕을 처방할 수 있습니다. 치험례를 살펴보면 36세 남자가 키가 크고 살집은 보통이며 혈색이 과히 나쁘지 않은데 어지러워 힘들어합니다. 바람부는쪽으로 걸으면 어지러움이 생기고 아주 피로해지고 일하는데 기운이 하나도 없고 맥은 약하고 배에서는 꿀렁거리는 물소리가 나고 배꼽 주변에서는 벌떡거리는 것.. 더보기 배가 빵빵하고 답답해서 잠을 못이루는 불면 <대시호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배가 빵빵하고 명치 부분이 답답하고 꽉 막힌듯 하면서 변비가 있는 사람의 불면에 대시호탕을 처방합니다. 그리고 대시호탕을 처방할 환자분이 잘 놀라고 두근거리는 동계가 있고 잘 흥분해서 잠들지 못할 때에는 시호가용골모려탕을 처방합니다. 체력이 약해서 추위를 타기도 하고 소화도 좋지 않으면서 혈색도 나쁘고 급하게 걸으면 숨이 끊어질듯 잘 쉬지 못하고 입이 마르고 배꼽 주위가 벌떡 거리고 두근 거리는 사람이 꿈자리가 뒤숭숭하고 꿈을 많이 꿔서 선잠을 자면서 소리를 다 듣고 자고 일어나면 한잠도 안잔것 같다고 표현하는 불면에는 시호계지건강탕을 처방합니다. 이 처방은 시호가용골모려탕이나 대시호탕처럼 복력이 탄탄하지 못하고 배가 무르며 흉협고만의 증상도 약하고 변비는 없고 오히려 무른변을 보거나 설사하는 경향이 있.. 더보기 머리가 차가워지면 생기는 두통 편두통 <마황세신부자탕> 치료는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에서 머리가 차면서 생기는 두통이 있습니다. 머리에 모자를 쓰거나 머리를 따뜻하게 감싸주면 덜해지고 머리가 차가와지면 통증이 심해지는 환자분들에게 마황세신부자탕을 처방합니다. 노인분들에게 많은 편이며, 맥은 침세하고 발이 차가운 편입니다. 세신이나 부자는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작용이 강한 약들로서 몸이 차서 오는 두통에 효과적입니다. 등에서 시작해서 목뒤까지 오한이 있고 머리가 차면서 통증이 있을때에는 당귀사역탕을 처방하기도 하는데 여기에도 세신이 함께 처방되어 있습니다.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