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증후군

친구, 우정 <탈무드> 아내를 선택할 때는 한 계단 아래로 내려가고, 친구를 선택할 때는 한 계단 위로 올라서라. 화내고 있는 친구는 달래려 하지 말고, 슬퍼하고 있는 친구는 위로하려 하지 말라. 만일 친구가 채소를 가지고 있다면 고기를 주어라. 친구가 꿀처럼 달다 하더라도 모조리 핥아 버려선 안된다. 더보기
메니에르병, 침 뜸 한약 치료로 '증상 호전'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메니에르병, 침·뜸·한약 치료로 ‘증상 호전’ 어지럼증·이명·난청 동시에 나타나…최근 5년간 진료인원 33% 증가 침·뜸 치료로 내이의 혈관 확장…혈류량 증가로 진정신경계 기능 개선 일본서는 유효성 인정돼 ‘메니에르병 진료가이드라인’서 한약 사용 추천 [한의신문=강환웅 기자] #회사원 A씨는 근무 중 구토를 동반하는 심한 어지럼증이 발생해 급히 이비인후과를 찾아 검사를 받은 결과 ‘메니에르병’이었다. 약을 먹어도 발작이 계속 되고 청력도 떨어지면서 근무가 어려워지자 한방이비인후과를 찾게 됐고, 4주간 틈틈이 침·뜸·한약 치료를 받고 현재는 6개월간 어지럼증이 거의 없는 상태로 지내고 있다. 메니에르병은 어지럼증과 청력 저하, 이명(귀울림) 등의 증상이 발현되는 귀 질환으로, 이름이 다소 생소해 희귀한 병.. 더보기
타목시펜 사용 유방암 환자와 한약 -한약으로 자궁내막암 발생 위험성을 낮춘다 <천안동의보감한의원> 타목시펜 사용 유방암 환자와 한약 -한약으로 자궁내막암 발생 위험성을 낮춘다 [출처] Tsai, Yueh-Tin et al. The use of Chinese herbal products and its influence on tamoxifen induced endometrial cancer risk among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a population-based study.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4;155(2):1256-1262. [개요] 유방암 중 estrogen receptor-positive인 경우에 흔히 타목시펜을 사용합니다. 타목시펜은 유방의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억제함으로써 다른 쪽 유방의 유방암을 억제하는 목적으로 처방되.. 더보기
평가<탈무드> 유태인에게는 인간을 평가하는 기준이 세가지 있다. 첫째는 돈을 넣는 지갑이고, 둘째는 술을 마시는 잔이며, 셋째는 성격이다. 이것으로 그 사람이 돈을 어떻게 쓰는지, 술마시는 품행이 깨끗한가 지저분한가, 인내심이 있는가 없는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인간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는 일반적인 유형으로, 내 것은 내 것이고 네 것은 네 것이라는 인간. 둘째는 이색적인 유형으로, 내 것은 네 것이고 네것은 내 것이라는 인간. 셋째는 강한 정의감을 소유한 유형으로, 내 것도 네건이고 네 것도 네 것이라는 인간. 넷째는 나쁜 심성을 지닌 유형으로, 내 것도 내것이고 네것도 내 것이라는 인간. 현자 앞에 앉은 인간은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무엇이든지 흡수하는 스폰지형. 둘.. 더보기
월경이 불규칙하고 오후에 얼굴로 열이 올라 빨개지는 사람의 어지러움(현훈) <가미소요산>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가미소요산은 몸이 권태롭고 머리가 띵하게 무겁고 불면이 있으며 화를 잘내고 불규칙하게 열이 올라오는 느낌이 있으며 생리도 불규칙하고 오후에 얼굴에 열이 달아올라 볼이 빨갛게 되는 사람에게 쓰는 처방입니다. 이런 증상을 흔히 갱년기 장애, 폐경기 증후군이라 부르는데 이런 사람은 등에 오한이 나다가 열이나기를 교대로 한다고 호소하기도 합니다. 이런 사람이 어지러움을 호소하면 역시 가미소요산을 처방하게됩니다. 가미소요산증의 환자는 간의 기운이 울체되는 경향이 있기때문에 화를 내기가 쉽고 질투가 심한 경우도 있으며 안면이 붉은 경우가 많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납자의 경우도 간의 울체가 있을 때 처방하게 됩니다. 더보기
일어나면 어지러운 현훈 <영계출감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영계출감탕은 일어서면 어찔하다고 말하는 증상에 사용합니다. 가만히 누워있을 때는 괜찮은데 일어나면 어지러운 증상이 발생할 때 처방하면 좋을 효과를 볼 수 있는 처방입니다. 대총경절의 27세의 건강해보이는 여자 환자가 때때로 발작적으로 머리가 무겁고 어지럽다고 호소하는데 어지러우면 몸이 흔들리는것 같아서 걸을 수가 없다고 하는 증상에 복부의 진수음을 확인하고 영계출감탕을 처방하였더니 6일 복용으로 현훈이 없어지고 몸이 흔들리지 않아서 걸어 다닐수 있었다고 합니다. 대총경절은 또한 모친이 만성 신염과 현훈과 두통과 견비통으로 고생하시는데에 아침에 급히 일어나면 어지러워서 한동안 앉아 있어야 하는데 당귀작약산을 처방하여 효과를 보기도 했다고 합니다. 대총경절의 고찰을 살펴보면 상한론과 금궤요략에 현훈에 사용할.. 더보기
얼굴의 한쪽이 갑자기 뻣뻣해지고 물이 새는 안면신경 마비 <견정산> 치료는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에서 날이 갑자기 추워지거나 피로가 많이 쌓여 있을때 갑자기 얼굴 한쪽이 마비되는 증상이 발생하면 깜짝 놀라게 됩니다. 갑자기 얼굴이 마비되서 움직이지 않고 감각도 남의 살 같으며 입가에서는 침이나 물이 새게 됩니다. 안면신경에 문제가 생겨서 얼굴의 운동과 감각에 문제가 생긴것입니다. 안면신경마비는 원인에 따라서 벨마비와 람세이헌트 증후군으로 나뉘게 되는데 벨마비의 경우는 치료가 비교적 잘 되는 경향이 있으나 람세이헌트 증후군의 경우에는 신경의 손상으로 인해 후유증을 남기게 됩니다. 안면신경마비의 경우 대부분 자연치유되는 경향이 있으나 안면신경의 손상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신경의 말단의 성장이 멈추게 되면 신경이 더이상 회복되지 않아서 후유증을 남기게 됩니다. 그러므로 안면신경 마비질환은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더보기
요통, 허리 디스크, 협착증, 좌골 신경통, 하지불안 증후군 치료는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에서 요통 허리디스크 협착증 좌골신경통 치료는 천안동의보감 한의원에서 개요 1. 허리주위 척추뼈, 디스크, 관절, 인대, 신경, 혈관 등의 기능이상 및 부조화로 발생합니다. 2. 나이가 들수록 요통은 더 빈발하며(퇴행성), 50~60대에서 가장 많고, 경노동자에 비해 중노동자에게서, 흡연자에게서 더 빈번하며, 오래 앉아있는 사무직이나 학생들도 많습니다. 3. 단순 염좌에 의한 요통이 가장 흔하지만, 추간판 돌출이나 척추관 협착증처럼 신경압박에 의한 하지의 통증이나 감각이상 등도 올 수 있습니다. 요통 허리디스크 협착증 좌골신경통 하지불안증후군 치료는 천안동의보감 한의원에서 치료 1. 단순 염좌인 경우 보통 2주 이내 침 치료만으로도 회복됩니다. 2. 장부 기혈의 허쇠로 인해 결과적으로 근골격계의 역학적 변화가.. 더보기
테니스 엘보우 골프 엘보우 팔꿈치 통증 치료는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에서 테니스엘보우 / 골프엘보우 팔꿈치 통증 개요 1. 손목이나 팔근육을 과용하여 팔꿈치 내측이나 외측 힘줄(건)의 뼈 부착부에 염증이 발생하였고, 이후 재발과 회복을 반복하면서 만성적으로 변합니다. 2. 식당에서 무거운 그릇을 다루거나 가위질, 빨래쥐어짜기, 드라이버 같은 공구를 오래 사용하는 분들에게서 잘 나타납니다. 3. 팔을 들어 올리거나 손목에 힘을 주면 팔꿈치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며 팔꿈치 부위를 눌렀을 때도 찌릿하면서 아픕니다. 테니스엘보우 / 골프엘보우 팔꿈치 통증 치료 1. 대개 초기엔 저절로 낫지만 반복되다가 오래 지나서야 한의원에 오게 됩니다. 2. 현재 직업(하는 일)과 연관성이 높아 치료를 하더라도 쉽게 재발됩니다. 3. 손목 및 팔을 최대한 아껴 쓰면서 침구치료 1~2개월 유지하면서 경.. 더보기
수근관 증후군 손목 터널 증후군 치료는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에서 수근관증후군 개요 1. 수근관이란 손목 앞쪽의 작은 통로로 손목 터널이라고도 하는데 이곳으로 9개의 힘줄과 하나의 신경이 손쪽으로 지나갑니다. 2. 이 통로가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정중신경(median N.)이 눌려 손목이 아프면서 엄지, 검지, 중지, 및 손바닥 부위의 저림 증상이 나타납니다. 3. 손의 신경 질환 중 가장 흔하며, 유병율은 50% 이상입니다. 4. 압박이 심한 경우 엄지 근육의 쇠약 및 위축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수근관증후군 치료 1. 1~2분 동안 손목을 굽히고 있을 때 해당 부위에 저림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2. (급성기) 손목 보호대 착용 시키면서 3~4주 침, 약침, 뜸 온열치료. 3. (만성기) 통증 완화 및 원인 제거를 위한 한약 복용과 더불어 8~12주 침,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