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얼굴만 보고 보약을 짓는다고요?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가끔 환자분들이 얼굴만 보고 약을 짓는지를 물어보십니다. 그렇게 의심할 법도 합니다. 한의학에는 4진이라고 하는 진찰법이 있습니다. 망, 문, 문, 절이라고 하는 4진법을 통해 진찰하는 것이지요. 보고, 듣고, 냄새맡고, 맥을 짚어서 진찰을 하는 방법을 말하는데요 그중에 망진에 해당하는 보는 진찰을 그동안 소홀히 해왔다고 생각합니다. 동의보감한의원에서는 4진을 충실하게 한다는 의미로 망진을 좀더 철저하게 시행합니다. 사람이 생긴 모양새는 그사람의 병을 표현하게 됩니다. 예를 들자면 우리가 병든 사과를 보면 금방 알게 됩니다. 쭈글쭈글 말라 있고 벌레가 먹었을 수도 있고요 색깔은 광택도 없고 뭔가 문제가 있어보이게 되는거죠. 그것을 우리가 겉으로 보면서도 알게 되는 것처럼 환자의 병도 겉으로 드러나게 되고.. 더보기 한의학 생활 백서 3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더보기 처세 3 <탈무드> 촛불 한 자루로 여러 자루의 초에 불을 붙인다 해도 애초의 촛불 빛은 흐려지지 않는다. 가난한 사람이 물건을 주워 그것을 주인에게 되돌려 주는 것과, 부자가 수입 가운데 10분의 1을 떼어 남몰래 가난한 사람에게 주는 것, 도시에 살고 있는 독신자로 아무런 죄도 짓지 않는 것, 이 세 가지야 말로 하나님에게서 칭찬받을 일이다. 식사할 수 있는 내 집이 없고, 언제나 아내 엉덩이 아래 깔려 있으며, 늘상 이곳저곳이 아프다고 호소하며 지내는 남자는, 목숨은 붙어 있으나 존재가치가 없는 사람이다. 평생에 단 한 번 고기 요리를 실컷 먹고 나머지 날을 굶주리며 지내기보다는 평생 양파만 먹고 지내는 편이 낫다. 달콤한 과일에는 그만큼 벌레가 많이 붙고, 재산이 많으면 걱정 또한 많다. 여자가 많으면 잔소리가 많고.. 더보기 혈압이 낮고 피로하기 쉬우며 기운이 없는 사람의 어지러움 <진무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진무탕을 처방해야할 환자는 피로하기 쉽고, 혈색도 좋지 못하며 맥은 지약하고 손발이 차며 설사하기 쉽습니다. 혹시라도 변비가 있더라도 가끔 설사를 하게 됩니다. 또한 대황과 같은 찬약을 처방하게 되었을때 복통이 생기고 대변도 시원하게 나가지 않게 됩니다. 배도 힘이 없고, 꿀렁거리는 진수음이 있을 경우가 많습니다. 혹 가끔은 복직근의 경직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환자가 혈압도 낮고 어지러움을 호소한다면 진무탕을 처방할 수 있습니다. 치험례를 살펴보면 36세 남자가 키가 크고 살집은 보통이며 혈색이 과히 나쁘지 않은데 어지러워 힘들어합니다. 바람부는쪽으로 걸으면 어지러움이 생기고 아주 피로해지고 일하는데 기운이 하나도 없고 맥은 약하고 배에서는 꿀렁거리는 물소리가 나고 배꼽 주변에서는 벌떡거리는 것.. 더보기 잠귀가 밝고 꿈이 많고 꿈자리가 뒤숭숭해서 잠잔것 같지 않은 불면 <시호강계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체력이 약해서 추위를 타기도 하고 소화도 좋지 않으면서 혈색도 나쁘고 급하게 걸으면 숨이 끊어질듯 잘 쉬지 못하고 입이 마르고 배꼽 주위가 벌떡 거리고 두근 거리는 사람의 불면증에는 시호계지건강탕을 처방합니다. 이런 환자분은 선잠을 자면서 소리를 다 듣고 꿈을 많이 꾸고 꿈자리가 뒤숭숭해서 자고 일어나서도 한잠도 안잔것 같다고 표현합니다. 시호강계탕을 처방하게되는 환자는 시호가용골모려탕이나 대시호탕처럼 배의 힘이 탄탄하지 못하고 배가 무르며 흉협고만의 증상도 약하고 변비도 없고 오히려 무른변을 보거나 설사하는 경향이 있고 발도 차가운 편입니다. 더보기 배가 빵빵하고 답답해서 잠을 못이루는 불면 <대시호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배가 빵빵하고 명치 부분이 답답하고 꽉 막힌듯 하면서 변비가 있는 사람의 불면에 대시호탕을 처방합니다. 그리고 대시호탕을 처방할 환자분이 잘 놀라고 두근거리는 동계가 있고 잘 흥분해서 잠들지 못할 때에는 시호가용골모려탕을 처방합니다. 체력이 약해서 추위를 타기도 하고 소화도 좋지 않으면서 혈색도 나쁘고 급하게 걸으면 숨이 끊어질듯 잘 쉬지 못하고 입이 마르고 배꼽 주위가 벌떡 거리고 두근 거리는 사람이 꿈자리가 뒤숭숭하고 꿈을 많이 꿔서 선잠을 자면서 소리를 다 듣고 자고 일어나면 한잠도 안잔것 같다고 표현하는 불면에는 시호계지건강탕을 처방합니다. 이 처방은 시호가용골모려탕이나 대시호탕처럼 복력이 탄탄하지 못하고 배가 무르며 흉협고만의 증상도 약하고 변비는 없고 오히려 무른변을 보거나 설사하는 경향이 있.. 더보기 입이 마르고 소변이 불편하고 허약한 사람의 불면 <청심연자음>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몸이 허약하고 몸정을 하거나, 정액이 소변에 섞여서 나오거나 요도에 통증이 있거나 소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고 배뇨의 불편감을 느끼면서 불면증이 있을때 청심연자음을 처방합니다. 적산유언에는 산후 수십일이 되었는데 가벼운 이명증과 동계가 있고 마음이 안정되지 않고 잠을 이루지 못하는 여자에게 죽여온담탕을 처방하였으나 무효하여 잔뇨감이 있고 입이 마른다는 증상을 고려하여 청신연자음을 처방하여 효과를 보았다는 치험례가 있습니다. 또 갈증과 소변불리가 있으면서 불면하는데에는 저령탕을 처방할수도 있습니다. 금궤요략에는 소음병 하리 6~7일에 해수하고 구역하며 갈증이 있고 가슴이 답답하여 잠들지 못할때 저령탕을 쓴다고 적혀 있는데 설사나 기침이 없고 단지 입에 갈증이 있고 가슴이 답답하면서 소변이 불편하고 잠들지 .. 더보기 명치가 더부룩하고 답답하며 꿈이 많아 불면 <감초사심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위염이나 위하수증, 위무력증이 있는 환자가 명치가 더부룩 답답하고 꿈을 많이 꾸며 편히 잠자지 못할때 감초사심탕을 처방합니다. 감초사심탕은 반하사심탕의 변방으로 명치가 답답하고 경직되어 있으면서 뱃속에서 꾸룩꾸룩 소리가 나고 구토하며 설사하는 등의 증상이 있을때 사용하는 처방인데 이런 증상이 있으면서 잠을 잘 이루지 못할때 처방하면 잘 듣게 됩니다. 또한 구토나 설사가 없더라도 명치의 증상이 있으면 처방할수 있습니다. 또한 감초사심탕은 밤에 몽유병이 있는 환자에게도 처방하여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더보기 과민성 대장 증상으로 오인하기 쉬운 크론병 크론병은 잦은 설사와 복통이 발생하고 체력이 약하면서 마르지만 정확하게 진단받기 전까지는 과민성 장증후군으로 오인하여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혈변을 자주 보게 될때 검사를 받아보고 나서야 과민성 장증후군이 아니라 난치성 질환인 크론병(Crohn’s disease)이라는 사실을 알게되고 환자분들이 충격을 받습니다. 크론병은 현재까지 뚜렷한 치료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질환입니다. 크론병은 환자의 약 25%가 만 19세 이하인 소아청소년기에 발병하며, 성인의 경우에도 보통 20~40대까지의 젊은 연령층에서 주로 생깁니다. 원인은 미상으로 서구식 식습관과 같은 환경적 요인, 선천적인 유전적 요인, 소화관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미생물에 대한 우리 몸의 과도한 이상면역반응 또는 자가면역반응 때문에..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