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비주의

테레사(Teresa of Avila, Saint)

출처: 브리태니커


예수의 성 테레사(Saint Teresa of Jesus)라고도 함. 본명은 Teresa de Cepeda y Ahumada.
1515. 3. 28 스페인 아빌라~1582. 10. 4 알바데토르메스.
1622년 성인으로 추증되었으며, 축일은 10월 15일.
스페인의 수녀.

로마 가톨릭의 대표적인 신비주의자 가운데 하나로서, 고전적인 신앙서적을 썼으며, 원시 카르멜회의 엄격하고 명상적인 성격을 강조하고 되살린 '카르멜회 개혁'을 시작한 인물이다. 1970년 교황 파울루스 6세에게서 여성으로는 최초로 교회박사라는 칭호를 받았다.

1529년 어머니를 여읜 뒤 아마 1535년에 아버지의 반대를 무릅쓰고 아빌라에 있는 카르멜회 강생수녀원에 들어갔다. 그러나 2년이 채 못 되어 건강을 잃고 3년 동안 무력하게 지냈으며, 이 기간 동안 마음으로 드리는 기도를 좋아하게 되었으나, 건강을 되찾게 되자 기도생활을 중단했다. 그뒤 15년 동안 세상과 신앙 사이에서 방황하다가 1555년 마침내 신앙의 눈을 뜨게 되었다. 1558년에 14, 15세기에 해이해진 카르멜회 수도원 생활을 원래의 엄격한 생활로 회복하려고 결심했다. 개혁을 하기 위해 수녀들과 함께 철저한 은둔생활을 했으며, 이로써 하느님의 율법을 명상할 수 있었고, 고행의 기도생활을 통해(본인의 말을 빌자면) 인류의 죄를 '보상하기 위한 사명'을 수행했다. 1562년 교황 피우스 4세의 승인을 받아 '성 요셉 수녀원'이라는 이름으로 최초의 카르멜회 개혁 수녀원을 열었다. 이 수녀회는 기부금을 받지 않고 운영하는 등의 몇몇 이유로 세속 관리들과 성직자들에게 심한 반발을 받았으나, 청빈과 오직 대중이 제공하는 구호품만 가지고 살 것을 엄격히 고집했다.

1567년 카르멜회 총장 J. B. 로시는 로마에서 아빌라로 와서 이들이 벌이고 있는 개혁을 승인하고, 테레사에게 더 많은 수녀원과 수도원들을 세우라고 지시했다. 같은 해 테레사는 스페인 메디나 델 캄포에 있는 동안 젊은 카르멜회 사제 후안 데 예페스(시인이자 신비주의자로서, 훗날 십자가의 성 요한네스라고 부름)를 만났는데, 그가 남자들을 대상으로 한 '카르멜회 개혁'을 시작할 만한 능력을 갖추었다고 보았다. 1년 뒤 후안은 스페인 두루엘로에 최초로 '원시 규율 수도원'을 열었다.

테레사는 몸이 허약한데다 많은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스페인 전역에 16개 이상의 수녀원을 세우고 돌보면서 여생을 보냈다. 1575년 세비야 수도원에 있을 때 '맨발의 카르멜회'로 부르는 '원시규율파' 탁발수사들과 '신발을 신은 카르멜회'라고도 불리는 '완화된 규율파' 수사들 사이에 관할권 분쟁이 일어났다. 테레사는 이러한 분쟁을 예견하고 그것을 막으려고 노력했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카르멜회 총장에게 오해를 산 결과 더이상 수녀원을 세우지 말고 카스티야에 있는 수녀원에서 은거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후안도 1577년 톨레도에서 투옥되었다(→ 카르멜 신부회). 1579년 테레사를 이해하고 존경한 스페인 왕 펠리페 2세의 노력으로 마련된 해결책에 따라 카르멜회 '원시규율파'는 독립된 영역을 할당받았고, 1580년 교황 그레고리우스 13세의 칙령으로 승인을 받았다. 그뒤 테레사는 건강이 악화된 상태에서 개혁사역을 다시 시작하라는 지시를 받고 수백㎞ 이상을 다니면서 혼신의 힘을 기울여 일하다가 부르고스에서 아빌라로 가는 도중에 죽었다.

테레사의 금욕주의 교리는 명상생활에 대한 고전적인 해석으로 인정받아왔으며, 영적인 저서들은 매우 널리 읽혔다. 〈예수의 수녀 테레사의 생애 Life of the Mother Teresa of Jesus〉(1611)는 자서전이며 〈수도원 설립에 관한 책 Book of the Foundations〉(1610)은 수녀원들을 설립하게 된 경위를 기록한 것이다. 그리스도인의 영혼이 하느님을 향해 발전하는 것에 관한 다음 저서들은 걸작으로 꼽히는데, 〈완전의 길 The Way of Perfection〉(1583)·〈내면의 성(城) The Interior Castle〉(1588)·〈영적 관계, 하느님을 향한 영혼의 외침 Spiritual Relation, Exclamations of the Soul to God〉(1588)·〈하느님 사랑에 대한 개념 Conceptions on the Love of God〉(1588) 등이 그것이다. 현존하는 작품은 시(詩) 31편과 편지 458편이다.

 

'신비주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피즘  (0) 2010.10.06
요하네스(스페인 신비주의자 ; Saint John of the Cross)  (0) 2010.10.06
카발라(출처-위키백과)  (0) 2010.10.06
카발라(유대교 신비주의)  (0) 2010.10.06
이슬람 신비주의  (0) 2010.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