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주의 썸네일형 리스트형 융의 심적 진리에 대하여 - 욥에의 응답 [인간의 상과 신의상 -C. G. 융] '물질적 Physisch' 인 것이 진리의 유일한 기준은 아니다. 즉 심적 心的 진리도 있고, 이는 육체적으로 설명될 수 없으며, 증명되거나 부인될 수도 없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라인 강이 어느 때인가 하구에서 원래의 근원인 상류로 역류했다는 어떤 일반적인 믿음이 있다면, 비록 그 말이 물질적으로 볼 때 극도로 믿을 수 없는 것이라고 해야만 하겠지만 이 믿음 자체는 사실인 것이다. 그러한 믿음은 논박될 수도 없고 어떠한 증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심적 사실을 형성한다. 종교적 진술도 이런한 종류에 속한다. 그것은 모두 예외 없이 육체적으로 확인될 수 없는 대상에 관계한다. 종교적 진술이 그렇지 않다면 그것은 불가피하게 자연과학의 영역에 속하게 될 것이며, 자연과학은 그것을 경험 불가능한 것으로 받아들일 .. 더보기 영지주의(나스티시즘, 나스틱, 나스틱파, 그노시즘) 출처: 한국어 위키백과 영지주의(Gnosticism)는 고대에 존재하였던 혼합주의적인 종교 운동 중 하나이다.[1][2][3] 그리스어로 '신비주의적이고 계시적인 지식, 깨달음'을 가리키는 그노시스(γνῶσις)로부터 따와 그노시스파, 또는 그노시즘이라고도 하며, 이러한 낱말은 주로 이 운동의 반대 세력에 의해서 붙여졌다.[4] 이 종교 운동의 분파들 중 기독교 계통에 속한 사람들은 자신들을 단순히 기독교인이라 불렀다.[4][5] 영지주의 운동은 특정한 한 형태로 전개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다[1][5][6] 영지주의는 다양한 신앙 체계들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우주는 데미우르고스라고 불리는 불완전한 신이 창조했으며, 이 때 데미우르고스는 최고신의 프뉴마를 일부 사용하였다는 가르침에 대해서는.. 더보기 신플라톤주의 출처: 브리태니커 개요 신플라톤주의(Neoplatonism)는 3세기의 플로티노스가 발전시키고 그 후계자들이 수정해나간 그리스 철학의 마지막 형태로서, 6세기 후반 비그리스도교적인 철학이 금지될 때까지 지배적인 위치를 점유했다. 신플라톤주의자들의 핵심 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존재의 위계질서가 있으며, 가장 낮은 단계는 시공 속에 존재하고 감각에 지각되는 물리적 세계이다(→ 존재론). 둘째, 각 단계의 존재는 그보다 상위 단계로부터 파생된다. 그러나 이것은 시공 속에서 일어나는 과정이 아니다. 셋째, 각각의 파생된 존재는 그보다 상위 단계로 귀환하려는 관상적 욕구의 운동 속에서 자신의 실재성을 확립한다. 이러한 욕구는 상위 단계로부터 받은 유출의 창조적 힘 속에 이미 잠재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세계.. 더보기 수피즘 출처: 브리태니커 Ṣūfiism이라고도 씀. 신에 대한 직접적인 개인의 체험을 통해 신의 사랑과 지혜의 진리를 찾으려고 노력하는 이슬람의 신앙과 의식 형태. 수피즘은 신과 인간의 본성을 확인하고, 이 세상에 신의 사랑과 지혜가 존재한다는 것을 체험하게 해주는 다양한 신비적 실천방식들로 구성되어 있다. 수피('신비적')라는 아랍 용어는 초기 이슬람의 금욕주의자들이 입고 다니던 모직 옷, 즉 '양모'라는 뜻의 수프(ṣuf)에서 유래한다. 조직적인 운동으로서의 수피즘은 초기 우마이야조 시기(661~750)의 세속적 타락에 대한 반발로서 경건한 이슬람교도들 사이에 출현하기 시작했다. 신과의 개인적인 합일을 열망한 신비주의자들은 법률의 형식성이 개인적인 신학으로부터 벗어나 있음을 매우 불만족스럽게 생각하고 샤리아.. 더보기 요하네스(스페인 신비주의자 ; Saint John of the Cross) 출처: 브리태니커 (영)Saint John of the Cross. 본명은 Juan de Yepes y Álvarez. 1542. 6. 24 스페인 폰티베로스~1591. 12. 14 우베다. 1726년 성인으로 추증되었으며, 축일은 12월 14일. 그리스도교 대(大)신비주의자, 스페인 시인, 교회박사, 스페인 수도원운동 개혁자, 명상수도회인 '맨발의 카르멜회'(Discalced Carmelites) 공동설립자(→ 카르멜 신부회). 1563년 스페인 메디나델캄포에서 카르멜회 수사가 되었고, 1567년에 사제 임명을 받았다. 유명한 신비주의자인 아빌라의 성 테레사의 요청으로 카르멜회를 원래의 금욕생활로 회복시키는 일을 도왔다(1568). 1년 뒤 두루엘로에서 최초의 '맨발의 카르멜회' 수도원을 열었다. 그러.. 더보기 테레사(Teresa of Avila, Saint) 출처: 브리태니커 예수의 성 테레사(Saint Teresa of Jesus)라고도 함. 본명은 Teresa de Cepeda y Ahumada. 1515. 3. 28 스페인 아빌라~1582. 10. 4 알바데토르메스. 1622년 성인으로 추증되었으며, 축일은 10월 15일. 스페인의 수녀. 로마 가톨릭의 대표적인 신비주의자 가운데 하나로서, 고전적인 신앙서적을 썼으며, 원시 카르멜회의 엄격하고 명상적인 성격을 강조하고 되살린 '카르멜회 개혁'을 시작한 인물이다. 1970년 교황 파울루스 6세에게서 여성으로는 최초로 교회박사라는 칭호를 받았다. 1529년 어머니를 여읜 뒤 아마 1535년에 아버지의 반대를 무릅쓰고 아빌라에 있는 카르멜회 강생수녀원에 들어갔다. 그러나 2년이 채 못 되어 건강을 잃고 3년 .. 더보기 카발라(출처-위키백과) 카발라(קַבָּלָה)는 유대 신비교의(또는 유대교 신비주의)를 말한다. 카발라는 '전통'이라는 뜻이며, 세계의 여러 곳에서 볼 수 있는 신비주의 전통과 그 맥을 같이 한다. 카발라는 신비주의의 양식을 그대로 따르며, 여타 신비주의와 마찬가지로 특정한 카발라 교의의 독선주의 또한 배제된다. 많은 정통 유대인들은 카발라를 토라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보고 있으며, 토라에 내재되어 있는 깊은 의미를 연구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토라의 연구는 전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네 단계로 나눈다. 페샤트(Peshat): 표면적인 의미 레메즈(Remez): 비유나 은유적인 의미 데라쉬(Derash): 랍비 또는 미드라슈적으로 재해석함 소드(Sod): 토라가 담고 있는 비밀의 신비적인 해석 토라의 내재적인 비밀을 연구하는 것(소.. 더보기 카발라(유대교 신비주의) 출처: 브리태니커 Kabala, Kabbalah, Cabala, Cabbala, Cabbalah라고도 씀. (히브리어로 '전승'이라는 뜻) 유대교의 비의적(祕儀的) 신비주의. 12세기에 나타나 수세기 동안 유행했다. 카발라는 신비스러운 경험에 내재해 있는 위험을 피하기 위해 안내자가 교리와 의식을 전수하여 준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구전 전승이다. 비의적 하느님이 모세와 아담에게 전해주었으나 성문화되지 않은 토라(하느님의 계시)에 대한 비밀 지식이라는 점에서 카발라 역시 '전승'이다. 모세의 율법을 지키는 것이 유대교의 기본적 교리였지만, 카발라는 하느님에게 직접 다가가는 방법을 가르쳐준다. 어떤 사람들은 신비스러운 방법으로 하느님에게 다가가려는 자세를 범신론적이고 이단적인 것으로 규정하여 위험시했지만, .. 더보기 이슬람 신비주의 신비주의는 이슬람교도들이 신과의 체험을 통해 신의 사랑을 직접 찾으려는 믿음과 관행의 한 측면이다. 수피라는 용어는 아랍어로 양털이라는 뜻의 'suf'에서 유래된 말로 초기 이슬람 수도자들이 양털로 된 옷을 입고 다닌 데서 나왔다. 이 수도자들은 아랍어로 파키르(faqir), 페르시아어로 데르비시(dervish)로 알려졌는데 그 뜻은 가난한 사람이다. 이슬람 신비주의는 발전과정에 따라 몇 가지 단계로 나뉘는데 첫째, 초기 금욕주의 단계, 둘째, 신과의 사랑을 찬미하는 고전적 단계, 셋째, 수피들의 형제적 우호관계를 다짐하는 종단의 단계로 나뉜다(→ 우애조합). 그러나 이러한 구분과 관계없이 이슬람 신비주의의 역사는 신비주의자 개인의 신비적 체험에 크게 의존한다. 이슬람 문학에 끼친 수피 사상의 가장 큰 .. 더보기 사회적 요인으로서의 신비주의 신비체험은 확실히 개인 단독자가 초월자와 갖는 체험이다. 야코프 뵈메의 말처럼 신비체험 속에서 세계는 파괴되는 것이 아니라 재형성되기 때문에 외형적 권위나 교회에 대항해 나타난 신비주의는 그 배경이 다양하다. 신비주의가 지니고 있는 타계적 편견과 신과의 수직적 관계 때문에 신비주의자들은 사회적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비판받아왔다. 그래서 그는 소외자이며 죽은 시민이라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R.D.라나데는 "사회에 대하여 최선의 봉사를 하지 않는 사람은 신비가가 아니다"라고 했다. 다소 소박한 형태의 신비주의는 자선·격리·헌신의 태도와 원칙을 통해 개인과 집단과의 관계를 유도한다. 일반적으로 인정되지는 않았지만 신비주의는 자연과 사회를 초월하여 집단적인 삶을 변화시키려고 했으며 세계의 질병을 치유하려고 했다..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