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통

배가 당기면서 아프고 다리가 차가갑고 저린 디스크 증상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 천안동의보감한의원 아랫배가 당기는 증상을 산기라고 표현합니다. 평소 몸이 차고 산기가 있는 사람이 다리도 차갑고 저린 증상을 동반하는 디스크증상이 있다면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을 처방하게 됩니다. 치험례를 보면 63세 남자가 평소 몸이 차가왔고 탈장이 있고 배가 자주 아팠는데 복통이 점점 심해져서 잠을 이룰수 없고 맥은 침소현하고 배는 전체적으로 탄력이 없으며 배꼽 아래가 당기고 있고 다리는 차갑고 저린 증상이 있어서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에 부자 0.5를 가해 처방하였더니 3주일 후부터 잠을 잘수 있게 되었고 2개월 후에는 평소와 다름없이 생활하게 되었으며 5개월 후에는 다리의 저린 증상도 없어진 예가 있습니다. 몸이 차고 약한데다가 나이가 많은 경우의 증상은 긴 기간동안 꾸준한 치료가 필요함을 보여주는 임상례라 할 수 있.. 더보기
배가 빵빵하고 답답해서 잠을 못이루는 불면 <대시호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배가 빵빵하고 명치 부분이 답답하고 꽉 막힌듯 하면서 변비가 있는 사람의 불면에 대시호탕을 처방합니다. 그리고 대시호탕을 처방할 환자분이 잘 놀라고 두근거리는 동계가 있고 잘 흥분해서 잠들지 못할 때에는 시호가용골모려탕을 처방합니다. 체력이 약해서 추위를 타기도 하고 소화도 좋지 않으면서 혈색도 나쁘고 급하게 걸으면 숨이 끊어질듯 잘 쉬지 못하고 입이 마르고 배꼽 주위가 벌떡 거리고 두근 거리는 사람이 꿈자리가 뒤숭숭하고 꿈을 많이 꿔서 선잠을 자면서 소리를 다 듣고 자고 일어나면 한잠도 안잔것 같다고 표현하는 불면에는 시호계지건강탕을 처방합니다. 이 처방은 시호가용골모려탕이나 대시호탕처럼 복력이 탄탄하지 못하고 배가 무르며 흉협고만의 증상도 약하고 변비는 없고 오히려 무른변을 보거나 설사하는 경향이 있.. 더보기
과민성 대장 증상으로 오인하기 쉬운 크론병 크론병은 잦은 설사와 복통이 발생하고 체력이 약하면서 마르지만 정확하게 진단받기 전까지는 과민성 장증후군으로 오인하여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혈변을 자주 보게 될때 검사를 받아보고 나서야 과민성 장증후군이 아니라 난치성 질환인 크론병(Crohn’s disease)이라는 사실을 알게되고 환자분들이 충격을 받습니다. 크론병은 현재까지 뚜렷한 치료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질환입니다. 크론병은 환자의 약 25%가 만 19세 이하인 소아청소년기에 발병하며, 성인의 경우에도 보통 20~40대까지의 젊은 연령층에서 주로 생깁니다. 원인은 미상으로 서구식 식습관과 같은 환경적 요인, 선천적인 유전적 요인, 소화관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미생물에 대한 우리 몸의 과도한 이상면역반응 또는 자가면역반응 때문에.. 더보기
허약한 아이의 습관성 두통 <소건중탕> 치료는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에서 소건중탕은 평소에 허약한 아이의 두통에 처방합니다. 체격이 작고 마르며 안색이 좋지 못하여 건강해보이지 않은 아이들은 뱃가죽도 얇고 복직근이 긴장되어 있습니다. 이런 아이들은 식욕도 별로 좋지 못하며 습관적으로 피로감과 두통을 호소하게되고 수시로 자리에 눕게 됩니다. 이런 아이나 어른에게는 소건중탕을 처방하여 강장시켜주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입니다. 더보기
천안한의원 생리통 월경통 치료는 천안 동의보감한의원에서 월경통(생리통)은 월경기간동안 발생하는 하복부의 통증과 허리 통증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월경통(생리통)은 월경기간동안 발생하는 하복부의 통증과 허리 통증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개인에 따라서는 몸살, 부종, 유방통, 소화불량, 구토, 등의 증상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월경기간에만 발생하고 이후에 자연적으로 사라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것을 원발성 월경곤란증, 일차성 월경통(생리통), 원발성 월경통(생리통)이라 하는데 흔히 생리통이라고 하지요. 골반 내부의 질환으로 인해 월경통(생리통)이 발생하면 이차성 월경통(생리통), 혹은 속발성 월경통(생리통)이라 해서 자궁근종, 자궁 내막증, 자궁 선근증, 자궁내 유착이나 폴립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원발성 월경통이 많.. 더보기
생강차 | 병을 잘 치료하는 천안동의보감 한의원 소음인이 마시기 좋은 차중에 으뜸이 생강차입니다. 동의보감에는 생강이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 맛이 매우며 독이 없어서 5장으로 들어가고 담을 삭히며 기를 내리고 토하는 것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고 풍한사와 습기를 없애고 딸꾹질하며 기운이 치미는 것과 숨이 차고 기침하는 것을 치료해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소음인은 본래 비위의 양기가 부족하여 병이 생기기 쉬우므로 비위가 찬 사람들은 요즘처럼 날씨가 차면 손발과 몸이 차가와지기 쉽고 감기에 걸리기 쉽습니다. 이런 경우에 생강차를 엷게 끓여 복용하는 것이 양생에 도움일 될 것입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