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안

인슐린이 간암세포 성장 촉진시켜 인슐린이 간암세포 성장 촉진시켜 정상 간세포와 간암세포에서 서로 다른 인슐린 작용 규명 [한의신문=김대영 기자] 인슐린 농도가 높은 당뇨환자에서 간암 증식이 더 촉진되는 원인이 밝혀져 주목된다. 인슐린은 혈액 중 포도당을 글리코겐의 형태로 간이나 근육에 저장해주는 호르몬으로 인슐린이 정상 세포에 작용하는 기전은 활발히 연구된 반면 암세포에서의 포도당 대사나 암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이러한 가운데 박재봉 교수(한림대학교) 연구팀은 인슐린이 암세포의 당 대사 효소를 조절하는 방식이 정상 세포와 달라 간암세포의 성장을 촉진한다는 것을 규명해 냈다. 연구팀에 따르면 정상 마우스에 인슐린을 주사해 혈중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면 3시간 이후 최저치로 감소한다. 이때 간 조직의 피루브산 탈수소.. 더보기
한의학 생활백서 4 <천안동의보감한의원> 동의보감 한의원 진료시간 평일 : 오전 9시 30분~오후 8시(점심시간 1시~2시) 토요일 : 오전 9시 30분~오후 2시(점심시간 없이 진료) 일요일 공휴일 휴진 ​ 041-571-7510 더보기
죄<탈무드> 인간은 누구든지 죄를 짓는다. 그러므로 유태의 가르침에는 동양 도덕에서처럼 엄격하고 긴장된 느낌은 없다. 죄를 지었어도 유태인은 유태인인 것이다. 예를 들어, 화살을 과녁에 맞힐 능력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맞히지 못할 수 있는 것처럼 본시 저지를 리가 없는데도 어쩌다 저질러졌다는 것이 유태인이 생각하는 죄의 관념이다. 유태인이 죄에 대한 용서를 빌때에는 결코 '나'라고 하지 않고 '우리들'이라고 한다. 유태인들은 모두를 한 집안의 대가족으로 생각하고 있으므로 비록 혼자 죄를 저절렀어도 모두가 죄를 저지른 것이 된다. 따라서 자신은 도둑질을 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도둑질이라는 행위가 저질러진 것에 대해 하나님께 용서를 빌어야 한다. 그것은 자신의 자선이 부족해서 일어난 일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동의보감 한.. 더보기
불안장애 치료는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에서 더보기
우울 불안 두통이 있고 얼굴이 자주 붉어지면서 어지러운 현훈 <여신산>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여신산은 여성의 산전 산후에 나타나는 신경증을 동반하는 거의 모든 증상에 처방하게됩니다. 주로 냉이 있다든가 두통, 이명, 어깨결림, 두근거림, 불안, 우울, 요통 등 다양한 자율신경증상이 있을 수 있으며 변비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이런 증상들이 있으면서 얼굴이 달아오르고 어지러운 현훈의 증상이 있을때 여신산을 쓰게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여신산을 처방하게 되는 환자분은 보통의 체격이고 허증과 실증이 적당히 섞여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더보기
상기되고 얼굴이 붉어지고 불안하며 어지러운 현훈 <사심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몸에 수독의 정체가 있으면 어지러움이 생기게 됩니다. 그러나 수독의 정체로 인한 증상 뿐만 아니라 혈의 증상으로도 현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사심탕은 상기되고 충혈되고 흥분되는 증상이 동반되는 어지러움에 처방할수 있습니다. 사심탕은 황련 황금 대황 세 약재로 구성된 처방인데 이 처방에서 대황을 제하고 황백과 치자를 넣으면 황련해독탕이 됩니다. 황련 해독탕 역시 상기되는 증상과 흥분 충혈이 있을 때의 현훈에 처방하게 됩니다. 대총경절의 치험례를 살펴보면 연말에 바빠서 수면이 부족한 부인이 상기되고 안면홍조 변비가 있고 심하게 어지러워하는데에 사심탕을 처방하여 2~3일 복용으로 회복했다거나 55세의 이명과 불안 견비통 변비 흉협고만 있는 여자 환자의 심한 어지럼증에 사심탕에 치자 대황을 가한 처방을 복용시켜.. 더보기
목에 뭔가 걸린것 같고 불안하면서 어지러운 현훈 <반하후박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목에 뭔가가 걸린것 같아서 뱉아내려고 노력하고 뱉아보면 진득한 가래가 약간 뱉아질 뿐인 증상을 매핵기라고 합니다. 반하후박탕은 이런 매핵기가 있는 신경증환자에게 주로 처방하게 됩니다. 이런 환자는 불안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며 가슴이 두근 거리고 가벼운 어지러움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현훈의 증상에도 반하후박탕을 처방합니다. 반하후박탕에는 후박이 배합되어 있어서 배의 힘이 적당한 편이어서 아주 연약하고 무력한 상태는 아닙니다. 그러므로 적당히 배에 힘이 있는 환자에게 처방하게 되고 배에 힘이 없고 연약하다면 다른 처방을 선택하게 됩니다. 특히 후박과 지실이 배합된 소승기탕이나 대승기탕의 경우에는 복력이 좋고 근육의 긴장이 탄탄한 경우에 처방하지 않으면 환자가 입맛을 잃고 무기력해질수 있습니다.. 더보기
머리가 무겁고 뭔가 쓴것 같으며 어지러운 현훈 <당귀작약산>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당귀작약산은 복령 백출 택사가 배합된 처방으로 현훈의 증상이 수독에 의해 생길때 처방합니다. 수독으로 인한 현훈에서는 모(冒)의 증상을 동반하게 됩니다. 무겁고 뭔가를 머리에 쓴것 같은 느낌입니다. 이런 당귀작약산을 처방하게 되는 어지러움은 불안감을 동반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주로 임신중이나 산후에 생기는 어지러움에 처방할 경우가 많은데 임신중 혹은 산후 혹은 일반적인 빈혈로 인한 어지러움을 치료할때는 당귀작약산보다는 십전대보탕을 처방하게 됩니다. 더보기
기분이 안정되지 않고 신경이 예민한 불면 치료<삼황사심탕>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신경이 예민하고 기분이 안정되지 않아서 자꾸 이런 저런 생각으로 머리가 각성되어 잠들지 못하는 증상에 황련해독탕을 처방합니다. 그래서 고혈압이 있거나 갱년기 장애를 동반한 불면증에도 처방을 합니다. 이런 증상에 변비경향이 있을때는 삼황사심탕을 처방하거나 황련해독탕에 대황을 가해서 처방합니다. 황련은 충혈을 없애고 흥분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어서 황련아교탕이나 감초사심탕도 불면에 처방하게 됩니다. 또 치자도 충혈을 없애고 번조를 다스리는 효과가 있어서 불면 처방에 함께 사용합니다. 대총경절의 치험례를 살펴보면 55세 여자환자의 불면에 황련해독탕을 처방하여 치료하였습니다. 이 여자환자는 8년전 자궁전적출, 한쪽 난소 적출을 하였는데, 두통 현훈 불면을 주 증상으로 하여 늘 머리에 뭔가를 쓰고 있는 것처럼 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