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양 썸네일형 리스트형 얼굴만 보고 보약을 짓는다고요? <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가끔 환자분들이 얼굴만 보고 약을 짓는지를 물어보십니다. 그렇게 의심할 법도 합니다. 한의학에는 4진이라고 하는 진찰법이 있습니다. 망, 문, 문, 절이라고 하는 4진법을 통해 진찰하는 것이지요. 보고, 듣고, 냄새맡고, 맥을 짚어서 진찰을 하는 방법을 말하는데요 그중에 망진에 해당하는 보는 진찰을 그동안 소홀히 해왔다고 생각합니다. 동의보감한의원에서는 4진을 충실하게 한다는 의미로 망진을 좀더 철저하게 시행합니다. 사람이 생긴 모양새는 그사람의 병을 표현하게 됩니다. 예를 들자면 우리가 병든 사과를 보면 금방 알게 됩니다. 쭈글쭈글 말라 있고 벌레가 먹었을 수도 있고요 색깔은 광택도 없고 뭔가 문제가 있어보이게 되는거죠. 그것을 우리가 겉으로 보면서도 알게 되는 것처럼 환자의 병도 겉으로 드러나게 되고.. 더보기 처세 3 <탈무드> 촛불 한 자루로 여러 자루의 초에 불을 붙인다 해도 애초의 촛불 빛은 흐려지지 않는다. 가난한 사람이 물건을 주워 그것을 주인에게 되돌려 주는 것과, 부자가 수입 가운데 10분의 1을 떼어 남몰래 가난한 사람에게 주는 것, 도시에 살고 있는 독신자로 아무런 죄도 짓지 않는 것, 이 세 가지야 말로 하나님에게서 칭찬받을 일이다. 식사할 수 있는 내 집이 없고, 언제나 아내 엉덩이 아래 깔려 있으며, 늘상 이곳저곳이 아프다고 호소하며 지내는 남자는, 목숨은 붙어 있으나 존재가치가 없는 사람이다. 평생에 단 한 번 고기 요리를 실컷 먹고 나머지 날을 굶주리며 지내기보다는 평생 양파만 먹고 지내는 편이 낫다. 달콤한 과일에는 그만큼 벌레가 많이 붙고, 재산이 많으면 걱정 또한 많다. 여자가 많으면 잔소리가 많고.. 더보기 수험생 건강관리 어떻게 할까요?<천안 동의보감 한의원> 더보기 과민성 대장 증상으로 오인하기 쉬운 크론병 크론병은 잦은 설사와 복통이 발생하고 체력이 약하면서 마르지만 정확하게 진단받기 전까지는 과민성 장증후군으로 오인하여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혈변을 자주 보게 될때 검사를 받아보고 나서야 과민성 장증후군이 아니라 난치성 질환인 크론병(Crohn’s disease)이라는 사실을 알게되고 환자분들이 충격을 받습니다. 크론병은 현재까지 뚜렷한 치료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질환입니다. 크론병은 환자의 약 25%가 만 19세 이하인 소아청소년기에 발병하며, 성인의 경우에도 보통 20~40대까지의 젊은 연령층에서 주로 생깁니다. 원인은 미상으로 서구식 식습관과 같은 환경적 요인, 선천적인 유전적 요인, 소화관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미생물에 대한 우리 몸의 과도한 이상면역반응 또는 자가면역반응 때문에.. 더보기 이전 1 다음